도시 생존 매뉴얼
엘리베이터 안에서 불안을 느낄 때, 내가 하는 세 가지
“오늘은 도시에서 내가 나를 지키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자주 불안을 느끼는 공간 — 엘리베이터.
이 닫힌 철제 상자 속에서의 몇 초, 그 시간을 우리는 어떻게 견디고 있을까요?”
엘리베이터는 작고도 이상한 공간이다
도시의 하루는 ‘닫힌 공간’에서 시작되고 끝납니다.
그중에서도 엘리베이터는 가장 작고, 가장 밀폐된 공간 중 하나죠.
대부분 1평 남짓, 움직이는 철제 상자에 낯선 누군가와 갇혀 있는 시간.
이런 공간에서 이상한 긴장감이 도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낯선 사람과 단둘이 탔을 때, 누가 갑자기 말을 건다면?
뒤에서 내리려다 버튼을 놓쳤을 때, 상대가 나를 이상하게 보진 않을까?
사실 그 불안의 정체는 아주 구체적이기보다,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본능적 긴장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작은 상황들에 대해, 스스로 몇 가지 ‘생존 기술’을 만들어뒀습니다.
첫 번째 기술: ‘지나치게 집중하는 척’ 하기
엘리베이터 안에는 여러 가지 시선 회피 도구들이 있습니다.
층수를 표시하는 숫자, 경고 문구, CCTV 마크, 미세한 조명 위치까지.
저는 그중에서도 ‘층수 숫자’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척을 합니다.
눈으로 층수만 보는 게 아니라, 숫자의 깜빡임 주기, 버튼이 눌린 순서,
승강기 소리의 간격 같은 비필요한 정보에 전력을 다해 집중하죠.
이건 나 자신에게 “나는 이 상황을 분석 중이다”라는
의도적인 몰입의 허상을 만들어주는 방식입니다.
상대에게도 "나는 당신을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있다"는 메시지를 주죠.
두 번째 기술: 핸드폰을 보고 있지만 ‘아무것도 안 함’
많은 사람이 이 방법을 씁니다.
엘리베이터에 타자마자 핸드폰을 꺼내 ‘무언가’ 하는 척을 하죠.
하지만 그 ‘무언가’가 사실 아무것도 아닐 때가 많습니다.
— 화면 밝기만 낮추고, 빈 메모장을 보거나
— 문자 하나 없이 텅 빈 카카오톡 채팅창을 가만히 바라보거나
— 이미 본 뉴스 화면을 스크롤만 하는 경우도 있죠.
이건 약간의 자존심 섞인 방어입니다.
“나는 외롭지 않다. 나는 바쁘다. 나는 당신과 얽히고 싶지 않다.”
도시에 사는 우리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스마트폰을 하나의 방패로 사용하는 순간입니다.
세 번째 기술: 버튼 앞에 설 때의 ‘심리적 규칙’
엘리베이터에서 가장 안전한 위치는 어디일까요?
경험상, 저는 ‘버튼 앞’에 자주 섭니다.
그 자리는 뭔가를 ‘조작하는 사람’이라는 암묵적 권한이 주어지기도 하죠.
그만큼 상대방과의 거리도 일정 이상 유지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있어
어떤 ‘조심스러운 규칙’을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누가 타기 전에 먼저 눌러두되, 누군가를 대신 눌러주는 건 최소화
너무 빠르게 닫힘 버튼을 누르지 않기 (공격적 인상을 줄 수 있음)
다른 층에 누른 버튼 위에 내 손이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기
이렇게 조심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엘리베이터라는 공간은, 말 한 마디 없이도 긴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죠.
말보다 미세한 행동이, 도시에서는 오히려 더 큰 신호가 되곤 합니다.
어쩌면 그 공간은 내 마음을 비추는 거울
엘리베이터에서 내가 이렇게까지 여러 가지를 생각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도시의 불안지수를 보여주는 증거일지도 모릅니다.
혹은 그 날, 그 순간의 내 마음 상태를 은근히 비춰주는 거울이기도 하죠.
사람이 가득 찬 엘리베이터보다
오히려 단둘이만 탔을 때 더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
‘나’라는 존재를, 너무 가까이서 들키게 되는 느낌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마무리하며: 닫히는 문과 나 사이의 거리
도시에서의 생존은 거창한 기술보다
작고 사적인 규칙들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오늘 제가 소개한 이 세 가지도 대단한 건 아니지만,
그 순간의 ‘나’를 위로해주는 방식이기도 했습니다.
당신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어떤 마음으로 서 있나요?
그 몇 초 사이, 우리가 각자 지키는 작은 생존 기술이 있다면
그건 이 도시에서 우리 모두가 살아내고 있다는 증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