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은 어디일까 오늘은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은 어디일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밤하늘은 끝없는 공간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서도 온도의 높고 낮음이 뚜렷하게 갈립니다. 우주의 평균적 배경을 이루는 온도부터 특정 천체에서 관측된 극저온까지 차근차근 살펴보면 가장 차가운 장소의 정체가 또렷해집니다. 우주의 평균 온도와 자연이 만들 수 있는 냉각의 한계 우주 전체의 기본 배경 온도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이라 부르는 빛이 결정합니다. 이 배경복사는 빅뱅 이후 팽창하며 식어 현재 약 섭씨 영하 이백칠십 도 정도인 이점칠이 켈빈에 머물러 있습니다. 아무런 열원도 없는 빈 공간이라도 배경복사의 광자에 끊임없이 노출되므로 이 온도보다 더 차갑게 유지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진공은 공기가 없다는 뜻일 뿐 절대적으로 온도가 사라.. 2025. 8. 14. 중성자별 내부는 어떤 환경일까 오늘은 중성자별 내부는 어떤 환경일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밤하늘의 별들은 수명을 다하면 다양한 운명을 맞이합니다. 그중에서도 질량이 큰 별은 폭발적인 초신성 과정을 거친 후, 무시무시한 밀도를 가진 중성자별이 됩니다. 그런데 이 중성자별의 내부는 도대체 어떤 환경일까요? 우리는 상상할 수 있을까요? 상상을 초월하는 밀도와 압력 중성자별은 태양 질량의 1.4배 정도를, 고작 직경 20킬로미터 남짓한 구체에 압축한 천체입니다. 이를 일상적인 비유로 바꾸면, 지구에서 산 하나를 주먹만 한 크기로 압축한 것과 비슷합니다.중성자별 내부의 밀도는 1세제곱센티미터당 4억 톤 정도로 추정됩니다. 즉, 손톱만 한 조각이 지구에서 거대한 산보다 무겁습니다. 이렇게 엄청난 중력은 전자를 원자핵 안으로 밀어 .. 2025. 8. 14. 다른 은하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 오늘은 다른 은하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들은 대부분 우리 은하, 즉 은하수에 속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너머에는 수천억 개의 다른 은하들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만약 다른 은하를 여행한다면 얼마나 걸릴까요? 현실적인 시간일까요, 아니면 인류의 상상 속에서만 가능한 일일까요? 은하와 은하 사이의 거리먼저 은하 간 거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대형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입니다. 안드로메다는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로, 초속 30만 킬로미터 속도로 1년을 달린 거리를 의미합니다.즉, 지금 우리가 맨눈이나 망원경으로 보고 있는 안드로메다는 250만 년 전의 모.. 2025. 8. 13. 블랙홀 속에서는 시간이 어떻게 흐를까 오늘은 블랙홀 속에서는 시간이 어떻게 흐를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밤하늘의 가장 신비로운 존재 중 하나가 바로 블랙홀입니다. 그 중심은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을 만큼 강력한 중력을 가집니다. 그렇다면, 만약 우리가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다면 시간은 어떤 모습이 될까요? 우리의 시계와 마음속 시간은 여전히 같은 속도로 흐를까요, 아니면 완전히 다른 법칙이 적용될까요? 중력이 시간을 휘게 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중력에 따라 흐르는 속도가 달라집니다. 중력이 강할수록 시간은 느리게 흐릅니다. 이를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gravitational time dilation)’이라고 부릅니다.블랙홀 주변은 상상을 초월하는 중력이 작용합니다. 이벤트 호라이.. 2025. 8. 13. 우주는 왜 완전히 조용할까 우주에 관한 두번째 탐구, 오늘은 우주는 왜 완전히 조용할까 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천, 수억 개의 별들이 반짝입니다. 그 속엔 행성과 위성, 은하와 성운이 숨 쉬고 있죠. 이토록 많은 천체들이 빛을 내는데, 왜 우리는 그 어떤 소리도 들을 수 없는 걸까요? 마치 우주는 완벽하게 침묵하는 거대한 공간처럼 느껴집니다. 이 ‘우주의 침묵’은 단순한 분위기가 아니라, 물리 법칙이 만들어낸 필연적인 현상입니다. 진공 상태의 공간, 소리가 사라지는 이유소리는 매질이 있어야만 전달됩니다. 우리가 대화할 수 있는 것은 공기라는 매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속에서도, 금속 파이프 안에서도 소리는 전달됩니다. 하지만 우주는 사실상 완벽한 진공 상태입니다. 즉, 공기 분자가 거의 없기 .. 2025. 8. 11. 달에서 지구를 보면 어떻게 보일까 오늘은 달에서 지구를 보면 어떻게 보일까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는 늘 밤하늘에 떠 있는 달을 바라봅니다. 그러나 거꾸로 달에서 지구를 본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하늘 한가운데 떠 있는 지구는 어떤 빛깔이며, 얼마나 크고 생동감 있게 느껴질까요. 인간은 오래전부터 우주를 향한 시선을 가졌지만, 외부에서 우리 행성을 바라보는 경험은 여전히 낯설고 신비롭습니다. 달에서 본 지구의 위치와 움직임달에는 하루가 없습니다. 지구처럼 아침이 오고 밤이 오는 변화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을 조석 고정이라 부르는데, 덕분에 우리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의 그 일정한 면에 서 있.. 2025. 8. 4. 이전 1 2 3 4 5 ··· 7 다음